
정부가 캄보디아에서 고문당해 숨진 한국인 대학생 주검 송환과 관련해 “이른 시일 내에 부검과 국내 주검 운구가 이뤄지도록 캄보디아와 계속 협의하겠다”고 했다.
외교부는 11일 보도설명자료를 통해 “외교부 본부 차원에서 캄보디아 측과의 각급 소통 때마다 우리 국민 사망에 대한 강력한 유감을 지속 표명하고 조속한 관련 절차의 진행을 요청해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주캄보디아대사관은 캄보디아 경찰로부터 국민의 사망 사실을 통보받은 직후 캄보디아에 신속한 수사와 용의자에 대한 엄중한 법적 조치를 요청했다”며 “국내 유가족과 수시로 직접 소통해 수사 진행 상황과 부검 관련 절차를 안내하는 등 영사 조력을 제공했다”고 했다. 또 “우리 경찰청 소속 부검의가 참여해 현지 부검을 진행하기 위한 캄보디아 측 내부 절차가 지연되자 캄보디아 관계 당국에 공한을 발송하고 수차례 면담을 진행해 캄보디아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외교부 캄보디아에서 구금 등 피해를 받았을 때 ‘본인 직접 신고’가 필요하다고 안내하는 내용에 부분에 대해서도 추가 설명을 내놨다. 외교부는 “캄보디아 당국이 본인 직접 신고 원칙을 하는 이유는 과거 제3자가 신고해 출동을 해보니 정작 당사자가 감금 사실을 부인하고 온라인 스캠센터(범죄조직)에 잔류를 희망하는 등의 사례가 발생했기 때문”이라며 “우리 정부는 감금 상태에서 신고자가 캄보디아 당국이 요구하는 정보를 모두 제공하기 어려우므로 신원과 위치정보만으로도 경찰이 출동할 수 있도록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을 검토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고 했다. 캄보디아 경찰은 취업 사기나 감금 피해를 신고할 때 신고자의 현재 위치, 연락처, 건물 사진, 여권사본, 얼굴 사진, 본인 구조 요청 영상 등을 전송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어 외교부는 “주한캄보디아대사관은 (본인 직접 신고)내용을 안내하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신고자와 지속 연락하면서 캄보디아에 정확한 신고가 이뤄져 신속한 출동이 가능하도록 현지 당국이 요구하는 신고 요건과 방법을 충분히 설명하고 지원 중”이라고도 했다.
한편, 외교부는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의 피해 사례가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온라인 스캠센터에서 일하게 된 한국인이 많아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들 중에는 취업사기 피해자 외에도 온라인 스캠임을 알고도 국내 가족에게는 비밀로 한 채 자발적으로 가담하는 사례가 많다고 했다. 외교부는 “(자발적 가담자들은)구출된 뒤 대사관의 영사 조력을 거부하고 한국 귀국 뒤 다시 캄보디아로 입국해 온라인 스캠센터로 복귀하는 경우도 많다”며 “이러한 자발적 가담자들은 일반 국민에 대한 잠재적 보이스피싱 가해자라고 볼 수 있다”고 했다.
이승욱 기자 seugwook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