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시내 산후조리원 비용 부담을 낮추기 위해 '반값 조리원' 서비스 제공에 나선다.
서울시는 내년부터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 시범 사업에 들어간다고 9일 밝혔다. 2026년 민간산후조리원 5곳을 공모해 상반기 중 가동하고, 시범 운영 성과를 평가한 뒤에 2027년부터 서울 전역에서 서울형 산후조리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전면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이번 사업의 특징은 신규 공공 산후조리원을 짓는 대신 과잉 공급된 민간 시설을 활용해 비용과 효율을 동시에 잡는 '서울형 상생 모델'을 처음 도입한다는 점이다.
시는 신규 건립에 100억 원 이상, 최소 3~4년이 소요되는 공공 산후조리원 대신 이미 출생아 수 대비 과잉 상태인 민간 시설과 협력하는 방식을 택했다. 예산을 절감하면서도 즉각적인 정책 효과를 노린 것이다.
시는 2026년 5곳을 공모해 시범 운영한 뒤 2027년부터 전면 확대할 계획이다.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은 2주 이용 기준 390만 원(민간 중위 요금)의 표준요금을 적용한다. 서울시가 140만 원을 지원해 산모는 250만 원만 부담하면 된다. 이는 평균 이용료(491만 원) 대비 절반 수준이다.
서울에 거주하는 산모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취약계층, 다자녀 산모에게는 우선 입소권이 제공된다. 저소득층은 100%, 다자녀·한부모 가구는 50%의 추가 감면 혜택도 받는다. 참여하는 민간 조리원은 시로부터 최대 5000만 원의 시설개선비를 지원받아 감염 관리 시설과 장애인 산모실 등을 보강해야 한다.
정소진 서울시 건강관리과장은 "서울형 안심 산후조리원은 공공성과 민간의 전문성을 결합한 합리적 상생 모델"이라며 "안정적인 시범 사업으로 행복한 육아의 시작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