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협은행을 통한 캄보디아 송금이 최근 몇 년 새 급증하면서, 국내 보이스피싱·조직범죄 자금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통로로 악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인 어기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농협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분석한 결과, 2021년 이후 캄보디아로의 연간 송금액이 약 3배 가까이 늘었다.
2021년 368억 원에 불과했던 송금액은 2022년 459억 원, 2023년 942억 원으로 뛰었고, 올해 들어서도 9월까지 이미 798억 원이 송금됐다. 같은 기간 전체 송금 건수는 2만1981건, 금액으로는 3605억 원(약 2억5172만 달러)에 달한다.
이 가운데 한국인 명의 송금이 3160억 원(약 2억2045만 달러)으로 88%를 차지했다. 특히 지난해부터 올해 9월 사이 지급정지 계좌가 31건 적발돼, 한국인을 노린 납치·협박형 보이스피싱이 개입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어 의원은 “캄보디아를 중심으로 한 조직적 보이스피싱이 확산하고 있지만, 농협은행의 금융사기 방지체계는 여전히 허술하다”며 “해외계좌 실명확인과 이상거래 탐지시스템을 전면 재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농협은행은 2020년 이후 금융사기 방지시스템 구축과 전담센터 운영에 54억 원을 투입했지만, 피해 예방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보이스피싱 피해 건수는 8807건, 피해액은 1366억 원에 달했으며 환급률은 15.9%(217억 원)에 그쳤다.
한편 농협은행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캄보디아 현지 단체 ‘AFESIP(위기의 여성들을 위한 행동)’에 약 5000만 원(3만7000달러)을 기부했다. 하지만 이 단체는 창립자 소말리 맘이 성착취 피해자에게 허위 증언을 시킨 사실이 드러나 미국 내 비영리기구가 폐쇄된 바 있으며, 미 대사관은 자금 운용 문제를 공식 지적한 바 있다.
어 의원은 “캄보디아 송금 급증이 단순한 해외 거래 확대인지, 범죄자금 이동인지 명확히 규명해야 한다”며 “해외 기부사업 또한 투명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