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납치 대학생, 너무 맞아 숨 못 쉴 정도...병원 가는 길 사망"

캄보디아 국기./사진=뉴시스DB 캄보디아 범죄조직에 납치된 한국 대학생이 구조작전 직전 극심한 고문을 받아 사망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12일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8월 9일 캄보디아 캄폿주 보코산 범죄단지 인근 범죄조직에 감금됐다 구조된 A씨는 최근 사망한 대학생 B씨(22)와 같은 조직에서 감금돼 있었다고 진술했다.

A씨는 박 의원실에 "B씨가 너무 많이 맞아 치료를 했는데도 걷지 못하고 숨을 못 쉬는 정도였다"며 "보코산 근처 병원으로 가는 길에 차 안에서 사망했다고 들었다"고 전했다.

이어 A씨는 "B씨가 다른 곳에서 강제로 마약 운반에 동원됐다가 자신이 감금된 조직에 팔려 왔던 상태였다"며 "이미 앞선 조직에서 심한 폭행을 당해 말을 잘할 수 없을 정도였다"고 설명했다.

지난 7월17일 "현지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캄보디아로 떠난 B씨는 지난 8월 8일 캄폿주 캄퐁베이 인근의 차량 안에서 사망한 채 발견됐다. 캄보디아 현지 경찰은 B씨가 '심장마비(고문으로 인한 극심한 통증)'로 사망했다고 판단했다.

한국 정부는 현지 당국과 협조해 8월 9일 해당 지역의 범죄조직을 검거하고 감금돼 있던 14명의 한국인을 구조했다. B씨가 8일 사망했다면 구조작전 하루를 앞두고 사망한 것이다.

B씨의 시신은 부검 및 행정 절차 지연으로 두 달이 넘도록 국내로 운구되지 못하고 있다. 외교부에서는 현지 공안 당국과의 절차를 조율 중이며, 이달 중 시신이 국내로 들어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겨냥한 납치·감금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5년간 캄보디아 내 납치·감금 피해 신고는 2021년 4건에서 2024년 220건으로 늘었으며 올해 8월까지만 해도 330건 발생했다.

한편 박 의원은 지난달 30일 재외국민보호 체계를 강화하는 '재외국민보호를 위한 영사조력법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하기도 했다.

개정안은 재외공관의 기능을 '신고 안내' 중심에서 '탐지·대응'으로 전환해 주재국의 정세, 안전 상황 및 재외국민 사건·사고 추이 등을 수집·분석하도록 했다.

특히 재외공관의 인력과 예산 부족이 재외국민 범죄 피해 증가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온 만큼 매년 인력·예산 현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해 외교부 장관에게 제출하고, 장관은 그 결과를 인력·예산 편성에 반영하도록 했다.

박 의원은 "법 개정을 통해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골든타임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