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이소가 국내 가성비 뷰티 시장의 핵심 채널로 부상하고 있다. 가성비를 중시하는 젊은 층 외에도 50~60대 중장년층 수요도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데이터 분석업체 엠브레인 딥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1년간(9월 기준) 다이소에서 판매된 기초·색조 화장품 구매 추정액은 약 3376억 원으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기초 화장품 구매 추정액은 약 2555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3.9% 증가했다. 기초 제품군 내에서는 에센스·세럼, 마스크·팩, 크림, 스킨/토너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특히 크림과 스킨/토너 제품의 성장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는 기본 스킨케어 제품에 대한 신뢰도와 만족도가 상승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그동안 기초 화장품은 브랜드 의존도가 높은 품목으로 인식됐다. 하지만 최근에는 여러 뷰티 브랜드가 다이소 전용 세컨드 브랜드를 선보이면서 시장 흐름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저렴한 가격으로도 성분과 효능을 일정 수준 보장하는 제품을 중심으로 소비자 신뢰도가 높아졌다. 특히 다이소는 고가 화장품을 구매하기 전 제품 효능을 시험하려는 소비자의 '테스트베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런 소비 방식은 이른바 '리트머스 소비'라는 흐름과 맞닿아 있다.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지난 8월 진행한 조사에서도 소비자들은 고가 제품과 유사한 품질을 가진 저렴한 제품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응답자 상당수는'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다'는 점과 '합리적인 가격에 품질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성비 제품 소비를 선호한다고 답했다.
특히 최근 다이소 뷰티 구매자 중 고연령층 비중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최근 판매 데이터를 보면 60대를 중심으로 시니어층의 구매 증가세가 뚜렷하게 확인됐다. 그동안 다이소 화장품은 주로 10~30대가 활용하는 가성비 제품이라는 인식이 강했으나, 기초 제품 중심의 실속형 라인업이 구축되면서 실제 제품의 효능을 중시하는 시니어층도 선택받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과거 '다이소템'이라 불리며 저렴하지만, 품질이 떨어진다는 편견을 갖고 있던 소비 인식도 빠르게 달라지고 있다. 최근 다이소는 합리적 가격에 일정 수준 이상을 보장하는 품질을 결합해 소비자에게 심리적 만족감을 제공하는 유통 채널로 자리 잡고 있다. 더불어 국내 제약사까지 다이소 전용 화장품을 출시하며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도를 강화하면서 다이소 화장품의 품질 경쟁력은 더욱 향상될 가능성이 높단 게 업계의 분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