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너머] ‘진짜 축제’는 계속 돼야 한다 - Supple

[노트북 너머] ‘진짜 축제’는 계속 돼야 한다

▲정영인 생활경제부 기자
▲정영인 생활경제부 기자

나들이의 계절 가을이 오니 전국이 지역 축제로 들썩인다. 최근 경북 김천에선 분식집 프랜차이즈 ‘김밥천국’의 줄임말 ‘김천’에서 영향을 받은 ‘김천김밥축제’가 열려 15만여 명의 인파가 몰렸다. 강원도 원주에선 ‘원주만두축제’, 또 ‘춘천 숲속 빵시장 축제’, ‘횡성한우축제’ 등도 인기였다.

지역 축제는 국민의 소비 심리를 부양하고 지역경제 활력을 높이는 효과가 크다. 최근 한 식품사 팝업스토어에서 만난 4인 가족 방문객은 “팝업 구경을 위해서 지역에 구애받지 않고 이곳저곳을 찾는 게 우리 가족의 취미가 됐다”며 했다. 각 지방자치단체가 다양한 체험 행사, 즐길 거리를 준비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을 것이다.

가장 큰 효과는 지역 상권 활성화다. 축제 기간 방문객이 늘면 인근 상권 매출은 자연스레 늘어난다. 원주시에 따르면 만두축제의 직·간접 경제 효과는 총 1010억9000만 원으로 추산, 직접 경제 효과만도 347억2000만 원에 달한다. 내달 7~9일 예정된 ‘구미라면축제’의 경우 지난해 축제 방문객의 48%가 외지인일 정도로 전국적 관심을 끌었고, 약 15억 원의 지역 소비가 창출됐다. 이런 사례들은 지역 축제가 한 지역의 브랜드, 더 나아가 지역 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런데 전국에서 우후죽순 열리는 지역축제 중 실제 경제 효과가 입증된 축제는 손에 꼽는다. 문화체육관광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이름 있는 지역 축제는 1170개에 이른다. 이중 문체부가 관광진흥법 시행령에 따라 축제 특성과 콘텐츠, 관광객 유치·경제적 파급효과를 기준으로 지정한 ‘문화관광축제’는 25개 정도에 불과하다.

지역 축제가 특색 없이 혈세 낭비라는 비판을 받지 않으려면 행사를 넘어 산업이 돼한다. 축제와 소비, 재방문 그리고 산업화의 선순환이 만들어지는 ‘체류형 소비 촉진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는 것이다. 일례로 구미라면축제는 1990년 구미공장을 설립한 농심이 함께 하는데, 지역경제 활성화의 한 축이 된 라면을 아이템 삼아 지속가능성을 확보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축제에는 구미 대표 맛집 등도 참여해 새로운 라면 메뉴를 선보이는 ‘라면 레스토랑’도 열려, 축제 후에도 먹거리 재방문 수요를 창출했다. 가을마다 축제의 광장은 열리지만, 진짜는 축제가 끝나고 나서 시작된다. 사람을 한번 끌어모으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다시 계속 찾게 하는 일. 사람의 발길이 계속 이어지는 곳에 진짜 경제가 있다.

조회 772 스크랩 0 공유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