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부산 20분만에…국토부, 하이퍼튜브 핵심 기술개발 착수

자기부상·추진 기술 개발 본격 시작…2027년까지 127억원 투입

하이퍼튜브 기술
[국토교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서울에서 부산까지 20분 이내에 주파할 수 있는 차세대 초고속 육상교통 '하이퍼튜브'의 핵심 기술 개발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국토교통부는 하이퍼튜브의 빠른 속도를 구현하는 자기부상·추진 기술 개발에 착수한다고 9일 밝혔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철도연)이 주관 연구 기관으로 참여한다.

하이퍼튜브는 진공에 가까운 '아진공'(0.001∼0.01 기압 수준) 상태의 튜브 속에서 자기력으로 열차를 띄우고, 열차와 선로 사이의 전자기력으로 차량을 강하게 밀며 최고 속도 1천200㎞ 이상으로 달리도록 하는 이동 수단이다.

최고 속도로 쉬지 않고 달리면 서울에서 부산까지는 단 16분 15초가 걸린다.

출발·도착 전후 속도를 낮춰야 하는 점을 고려해도 20분이 채 걸리지 않아 비행기 이동 시간의 3분의 1, KTX 이동 시간(무정차 기준)의 7분의 1가량에 불과하다.

이를 통해 지역의 연결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했다.

하이퍼튜브와 기존 교통수단 비교
[국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하이퍼튜브는 아울러 태양광 에너지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기상에도 영향을 적게 받는 미래형 교통 시스템으로 꼽힌다.

이번에 국토부와 철도연이 개발에 착수하는 자기부상·추진 기술은 하이퍼튜브 차량이 고속 주행하도록 하는 데 필수적이다.

국토부와 철도연은 하이퍼튜브 전용 선로, 초전도 전자석 시스템, 주행 제어 기술, 차체 설계·제작 등 4가지 세부 기술을 개발하며 차량의 부상·추진을 검증할 계획이다.

내실 있는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세부 기술 분야별로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하이퍼튜브 핵심기술 개발 사업 추진 태스크포스(TF)'를 함께 운영해 주기적으로 연구개발 성과를 점검할 예정이다. TF 위원장은 국토부 철도국장이 맡는다.

하이퍼튜브 핵심기술 개발 사업 추진 태스크포스
[국토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토부는 자기부상·추진 기술 개발을 오는 2027년까지 진행할 계획이다. 사업비는 올해 36억8천만원을 포함해 3년간 총 127억원을 투입한다.

국토부는 이번 기술 개발을 통해 하이퍼튜브 기술개발 및 테스트베드 조성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에 재도전하며 초격차 기술 구현과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하이퍼튜브는 지난 2009년 철도연이 세계 최초로 연구를 시작했고, 2020년 하이퍼튜브 축소 모형 시험을 통해 아진공 상태에서 시속 1천19㎞ 주행에 성공한 상태다.

다만 새만금에 하이퍼튜브 종합시험센터를 짓는 사업은 핵심 기술개발 선행 연구 미흡 등의 사유로 2022∼2023년 2차례 예타 문턱을 넘지 못했다.

윤진환 국토부 철도국장은 "이번 연구개발은 '철로 위 비행기'인 하이퍼튜브 기술의 첫 발걸음으로서 큰 의미가 있는 사업으로 지역 균형발전과 인구 절벽으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며 "'꿈의 철도' 기술 개발로 글로벌 철도 경쟁 시장을 주도하고 세계 각지로 뻗어나가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sh@yna.co.kr

조회수 3,457스크랩 0공유 0
댓글 0
댓글 정렬 옵션 선택추천순최신순